#FireAid
#LiveAid
Written by Paul

LA Wildfires
최근 로스엔젤레스에서 대형 산불이 동시 다발적으로 발생했습니다. 2025년 1월 7일 부터 시작되었다고 합니다. 다음과 같이 두 개의 주요 화재가 발생했는데요.
1. 퍼시픽 팰리세이즈 화재 (Palisades Fire)
- 발생 시간: 2025년 1월 7일 오전 10시 30분 (PST)
- 발생 지역: 로스앤젤레스 퍼시픽 팰리세이즈(Pacific Palisades) 인근 산타모니카 산맥
- 규모: 약 23,448에이커(약 9,490헥타르) 소실
- 피해 상황: 6,837채의 건물 소실, 12명 사망
- 진화 완료: 2025년 1월 31일
2. 이튼 캐년 화재 (Eaton Fire)
- 발생 시간: 2025년 1월 7일 오후 6시 18분 (PST)
- 발생 지역: 알타데나(Altadena) 인근 이튼 캐년(Eaton Canyon)
- 규모: 약 14,021에이커(약 5,673헥타르) 소실
- 피해 상황: 9,418채의 건물 소실, 17명 사망
- 진화 완료: 2025년 1월 31일
(출처: ChatGPT)
화재 원인과 영향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화재 원인과 영향
두 화재 모두 건조한 기후와 강한 산타아나 바람(Santa Ana Winds)에 의해 급격히 확산되었으며, 캘리포니아 역사상 가장 파괴적인 산불 중 하나로 기록되었습니다. 특히 영화 및 TV 산업에도 심각한 영향을 미쳐 여러 촬영이 중단되었고, 많은 지역 사회가 피해를 입었습니다.
추가 정보
더 자세한 내용은 아래 링크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출처: ChatGPT)
위 화재로 미국 LA는 살던 집을 잃는 등 시민들의 삶에서 크나큰 피해를 입게 되었습니다.
영화 보헤미안 랩소디를 보신 분이라면 아시겠지만, 과거에 아프리카, 특히 에티오피아의 기근 문제 해결을 위한 기금 마련하기 위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음악가들이 Live Aid라는 자선 공연을 하기도 했습니다.
Live Aid
- 장소:
- 영국 런던: 웸블리 스타디움 (약 72,000명 관객)
- 미국 필라델피아: 존 F. 케네디 스타디움 (약 89,500명 관객)
- 동시 생중계: 100개국 이상, 15억 명 시청
- 출연진: 퀸(Queen), 엘튼 존(Elton John), 데이비드 보위(David Bowie), U2, 폴 매카트니(Paul McCartney), 마돈나(Madonna), 레드 제플린(Led Zeppelin) 등
(출처: ChatGPT)
Fire Aid
Fire Aid는 해당 Live Aid와 함께 자선공연을 이어가는 최근에 이루어진 LA 산불을 위한 자선공연입니다. Live Aid 이후에 몇 번의 큰 자선공연이 이루어졌는데,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1985년 이후 주요 자선 콘서트 목록
① "Freddie Mercury Tribute Concert" (1992)
- 목적: 퀸(Queen)의 보컬 프레디 머큐리(Freddie Mercury) 사망(1991년) 이후, 에이즈(AIDS) 연구 및 예방 기금 모금
- 장소: 영국 웸블리 스타디움
- 출연진: 퀸 + 엘튼 존, 데이비드 보위, 메탈리카, 건즈 앤 로지스, 조지 마이클 등
- 성과: 이 공연을 통해 **"The Mercury Phoenix Trust"**라는 에이즈 재단 설립
② "Concert for New York City" (2001)
- 목적: 9·11 테러 피해자 지원
- 장소: 매디슨 스퀘어 가든 (뉴욕)
- 출연진: 폴 매카트니, 롤링 스톤즈, 에릭 클랩튼, 데이비드 보위, 제이-지, 백스트리트 보이즈 등
- 성과: 수익금 전액을 테러 희생자 및 소방관 가족들에게 기부
③ "Live 8" (2005)
- 목적: 아프리카 빈곤 퇴치 및 G8 정상회의에 압력 행사
- 장소: 런던, 파리, 베를린, 필라델피아 등 전 세계 10개 도시
- 출연진: 퀸(폴 로저스와 함께), U2, 핑크 플로이드(재결합), 마돈나, 콜드플레이, 린킨파크 등
- 성과: 30억 명 이상 시청, G8 정상들이 아프리카 지원을 위한 500억 달러 기금 서약
④ "Hope for Haiti Now" (2010)
- 목적: 아이티 대지진(2010) 구호 기금 마련
- 장소: 로스앤젤레스, 뉴욕, 런던 등에서 동시 진행
- 출연진: 비욘세, 본 조비, 콜드플레이, 제이지 + 리한나 + U2(공동 무대), 테일러 스위프트 등
- 성과: 약 5억 달러 이상 모금, 아이티 재건 지원
⑤ "One Love Manchester" (2017)
- 목적: 맨체스터 공연장 테러(2017) 희생자 추모 및 피해자 지원
- 장소: 맨체스터 올드 트래포드 크리켓 경기장
- 출연진: 아리아나 그란데(주최), 저스틴 비버, 콜드플레이, 리암 갤러거, 케이티 페리 등
- 성과: 2,000만 파운드(약 3,300억 원) 이상 기부
과거의 Live Aid의 경우에는, 자선금액을 기부하는데 약간의 논란이 있었다고 합니다.
1. Live Aid(1985)의 수익금 및 기부 내역
- 총 모금액: 약 1억 2천 7백만 달러(현재 가치로 약 3억 달러)
- 기부 대상:
- 에티오피아 및 아프리카 기근 피해자
- 일부 기금은 기아 해소를 위한 인도적 지원 단체에 배분됨
논란
- 일부 기금이 에티오피아 독재 정권(멩기스투 하일레 마리암)에게 유입되었을 가능성이 제기됨
- 밥 겔도프(Bob Geldof)는 "기금의 100%가 기부되었으며,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완벽할 수는 없다"고 해명
2. Fire Aid(2025)의 수익금 및 기부 내역
- 총 모금액: 약 3억 5천만 달러(초기 예상)
- 기부 대상:
- 로스앤젤레스 및 캘리포니아 산불 피해 복구 기금
- 소방관 지원 및 재해 대비 시스템 강화
- 피해 주민 및 소상공인 재건 지원
운영 비용 관련 사항
- Live Aid 때와 달리, Fire Aid는 운영 비용을 따로 책정
- 공연장 대관, 기술 장비, 방송 중계 등에 사용된 비용은 스폰서 및 기업 후원을 통해 충당
- 티켓 판매 및 기부금은 전액 기부되도록 설계
(출처: ChatGPT)
하지만 이번 FireAid의 경우에는 운영 비용을 사전에 후원 기업이 부담하도록 하여 모금된 금액 100%를 기부하는 방식으로 개선되었다고 합니다.
저도 해당 공연이 있었을 당시 한국 시간으로 아침, 낮 시간대여서 John Mayer의 유튜브 채널을 통해 라이브로 시청하였는데요. John Mayer, Billie Eilish 등 대형 음악가들의 개인 유튜브 채널에서 기금 마련을 목적으로 모두 라이브 기능을 통해 유튜브 실시간 송출을 했던 것으로 기억합니다.
자세한 라인업 및 공연 내용은 다음과 같다고 합니다.
Fire Aid는 2025년 1월 30일, 로스앤젤레스의 **인투잇 돔(Intuit Dome)**과 **키아 포럼(Kia Forum)**에서 동시에 개최된 자선 콘서트로, 산불 피해 복구를 위한 기금 마련을 목적으로 했습니다.
각 공연장별 주요 아티스트 라인업은 다음과 같습니다:
인투잇 돔(Intuit Dome):
- 빌리 아일리시(Billie Eilish)
- 어스, 윈드 & 파이어(Earth, Wind & Fire)
- 케이티 페리(Katy Perry)
- 레이디 가가(Lady Gaga)
- 그레이시 에이브럼스(Gracie Abrams)
- 릴 베이비(Lil Baby)
- 젤리 롤(Jelly Roll)
- 올리비아 로드리고(Olivia Rodrigo)
- 페소 플루마(Peso Pluma)
- 스티비 원더(Stevie Wonder)
- 스팅(Sting)
- 로드 스튜어트(Rod Stewart)
- 테이트 맥레이(Tate McRae)
키아 포럼(Kia Forum):
- 레드 핫 칠리 페퍼스(Red Hot Chili Peppers)
- 앨라니스 모리셋(Alanis Morissette)
- 앤더슨 팩(Anderson .Paak)
- 존 메이어(John Mayer)
- 도스(Dawes)
- 그레이엄 내시(Graham Nash)
- 그린 데이(Green Day)
- 존 포거티(John Fogerty)
- 조니 미첼(Joni Mitchell)
- 스티븐 스틸스(Stephen Stills)
- 스티비 닉스(Stevie Nicks)
- 스팅(Sting)
- 블랙 크로우스(The Black Crowes)
이 콘서트는 유튜브, 넷플릭스, 스포티파이, 프라임 비디오, 파라마운트+, 애플 TV+, 애플 뮤직, 아마존 뮤직 등 다양한 스트리밍 플랫폼을 통해 생중계되었으며, 일부 AMC 극장에서도 상영되었습니다.
또한, 콘서트 수익금은 애넌버그 재단(Annenberg Foundation)의 자문을 받아 남부 캘리포니아 지역의 산불 피해 복구와 미래 화재 예방을 위한 단기 및 장기 프로젝트에 사용될 예정입니다
(출처: ChatGPT)
OUTSPIRED: “IN”spired를 받고 “OUT”된 생각을 뜻합니다.
세상은 어지럽지만 그래도 살만하다!